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메르스도 코로나도 모두 해외에서 유입된 감염병이죠.<br><br>이런 감염병을 막을 방역 최전선 인천국제공항인데, 의료 인력에 비상이 걸렸습니다. <br> <br>공항 검역소의 공중보건 의사 4명 중 3명이 곧 떠나게 됩니다. <br> <br>보건의사 한 명이 방역 최선전 전체를 떠맡을 판입니다.<br> <br>김용성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해외 입국자들의 첫 관문 인천국제공항 검역소입니다. <br> <br>체온을 살피고 감염병 의심 증상이 있는지 확인합니다. <br> <br>국내 코로나19 첫 확진자인 중국 우한에서 온 여성도 인천공항 검역소에서 확인됐습니다. <br> <br>이곳에는 의사 4명이 근무하는데요. <br> <br>모두 군 복무를 대체해 근무하는 공중보건의사들입니다. <br><br>입국자 가운데 신종 감염병 의심 환자가 있는지, 검체를 확인하고 격리가 필요한지 확인하는 방역 관문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.<br> <br>그런데 이곳 공중보건의사 4명 중 3명이 앞으로 열흘 이내에 소집해제됩니다. <br> <br>문제는 이들의 빈자리를 메울수 없다는 겁니다. <br><br>질병관리청이 최근 인원 보충을 요청했지만. <br><br>보건복지부는 신규 배치가 어렵다는 통보를 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<br><br>제주 검역소도 마찬가지. <br><br>유일한 의사인 공중보건의사가 모레 소집해제되는데 충원 약속이 없습니다. <br> <br>1992년 첫 공중보건의 배정이후 초유의 일입니다. <br><br>보건복지부는 신규 공보의 급감에 따라 감축 운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입니다.<br> <br>전문가들은 감염병 방역의 최전선이 취약해질 수 있다고 걱정합니다. <br><br>[김우주 /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] <br>"메르스도 그렇고 이번 코로나도 그렇고 인천공항을 잘 지키는 게 굉장히 중요하잖아요.(매번 공보의를) 임시로 쓴다는 생각보다는 전문성 있고 안정적인…" <br><br>채널A 취재가 시작되자 복지부는 치과 공중보건의의 검역소 배정을 질병청에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> <br>질병청이 난색을 표하자 복지부는 검역소 공중보건의 배치를 추가 검토하고 있다고 해명했습니다.<br> <br>채널A 뉴스 김용성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박찬기 <br>영상편집: 차태윤<br /><br /><br />김용성 기자 dragon@ichannela.com